▶교육_미래방향

[이찬승] 신체 움직임은 학습 그 자체

조수진 josujin 2023. 3. 5. 10:45

 

초등 1~2학년에 놀이 아닌 진짜 ‘체육’ 돌려줘야 한다 [김창금의 무회전 킥]

https://www.hani.co.kr/arti/sports/sports_general/1138173.html

한국의 1~2학년에는 ‘체육’ 교과가 없습니다. 선진국에서는 거의 유일합니다.

유례가 없는 교육체제는 아이들의 본능인 움직임 욕구를 제약하고 있습니다.

부자연스럽고, 우악스러운 일이지만 40년 넘게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찬승] 학습에는 뇌(마음)와 몸이 동시에 관여해

https://21erick.org/column/10069/

신체는 뇌와 소통하고 정보를 주고받는다.

학습뿐만 아니라 생각과 판단에도 신체가 관여한다.

이렇게 신체 움직임과 기억은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사고·학습과 신체가 얼마나 긴밀히 연관되어 있는가는

체화된 인지에 대한 다음의 흥미로운 증거를 보면 금방 알 수 있다.

사람이 ‘(혀로) 핥다, (손으로) 꺾다·따다, (발로) 차다라는 말을 들으면

뇌의 , , 과 연관된 뇌의 부위가 활성화되고,

또 즐거운 행사에 관한 글을 읽으면

미소를 통제하는 신경과 근육이 활성화된다고 한다.

이렇게 추상적 개념을 생각하기만 해도

우리의 뇌는 이들을 우리의 손, 발 등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것과 연결시키는 것이다

(Claudia Wallis, 2017).

이는 읽기, 수학, 과학 등 어떤 학습이든

신체 움직임이나 신체 언어를 사용할 경우

학습이 더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신체를 움직이면 혈류가 증가하고

이는 뇌를 포함한 신체에 더 많은 에너지와 산소를 공급할 수 있고

기분, 주의 집중, 동기, 수업 태도, 품행 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이는 뇌의 수행 능력 향상으로 이어진다.

학생들은 하루의 대부분을 앉아서 공부한다.

따라서 체육 시간, 뇌 휴식(brain breaks)7 활동하기와 신체 움직임을 수반하는

수업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수업과 수업 사이에 쉬는 시간(recess)을 갖는 것 역시 중요하다.

쉬는 시간은 교육의 일부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신체 움직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영어 표현에 “Move It or Lose It”이라는 것이 있다.

이는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지만 여기서는

신체를 움직여라 그렇지 않으면 학습하더라도 쉽게 잊는다.”로 해석될 수 있다.

교실 수업을 할 때 교사들이 잊지 말아야 할 격언이다.

이렇게 신체 움직임과 기억은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또한 신체 움직임은 학습 도중에 잠시 휴식하는 시간이 아니다.

전문가들은 신체 움직임은 학습 그 자체라고 말한다.“

 

[신체 움직임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1) 주의력 향상

2) 기억력 향상

3) 신경생성

4) 기분(mood)의 고양

5) 수업 태도와 품행의 향상

6) 출석률 향상

 

[몸의 움직임을 수업에 적용하는 방법]

1. 학습에 신체 동작을 반영하기

2. 뇌 휴식(brain breaks) 활동

 

 

 

**************************************************

조수진 작품 보려면 아래 링크로 들어가세요

**************************************************

조수진 융합예술

https://www.youtube.com/watch?v=gNbiRQdE86I

조수진 색칠

https://www.youtube.com/channel/UCLmERWIJSJFRH-31_l6eWxQ

[만화웹툰] 창작·시도

https://blog.naver.com/josujinkorea/222338294607

[애니메이션] 기획·활용

https://blog.naver.com/josujinkorea/221914435667

[창의미술 / 융합예술 / 창의융합교육 / 통섭연구]

https://blog.naver.com/josujinkorea/222173300942

조수진 작품경력

https://josujin.tistory.com/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