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_창의예술

[김정운] 창조적 시선

조수진 josujin 2023. 7. 19. 07:09

 

 

■애플 디자인은 사실 베끼기였다

- 문화심리학자 김정운 교수 1부 [신과대화]

https://www.youtube.com/watch?v=fYPDjVBgWsk

왜 동양에서는 산업혁명이 일어나지 않았나?

관료사회 때문이다.”

---조지프 니덤(Joseph Needham)

동양에서는 과학과 기술의 결합이 불가능했다. 실용적 지식의 부재.”

---조엘 모키르(Joel Mokyr)

고대인과의 투쟁이 없었기 때문이다!

공자맹자를 재해석만 반복할 뿐 부술 생각(해체작업)을 못 했다는 것.

과거제도 때문에 고대인의 지식을 외워야만 신분상승이 가능했기 때문.

한 시대를 발전 시켰던 동력이, 다음 시대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

세상에 영원히 훌륭한 건 없다.  자기 시대가 있을 뿐. (역사의 변증법)

 

■창조성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배우는 것!

- 문화심리학자 김정운 교수 2부 [신과대화]

https://www.youtube.com/watch?v=c8VuXD6iFO8

[문장적 사고] VS [회화적 사고]

[문장적 사고] 복잡할 때만 문장으로 생각한다. 예) 말로 중얼거림

[회화적 사고] 생각이 자유롭게 뻗어나감, 창의적으로 생각하다, 미래를 상상하다

무의식, 자유연상, 생각의 흐름은 언어가 아닌 그림으로 펼쳐진다.

생각의 본질이 무엇인가? 생각은 문장인가 그림인가

▶생각은 그림(이미지)!

"나는 내가 단어로 성찰한 적이 없다고 생각한다. 나는 시각적 다이어그램을 사용한다.“

---찰스 샌더스 퍼스 (Charles Sanders Peirce)

시각적 사고 - 날아다니는 생각의 특징

---루돌프 아른하임 (Rudolf Arnheim)

 

파울 클레 Paul Klee

[조형적 사고]'생각의 흐름'에 따라서 편집해내자

조형적 사고의 단위 : 색과 형태 (창조성도 교육이 가능하다)

 

바실리 칸딘스키 Wassily Kandinsky

[인류 최초의 추상화] 사물이 아닌 느낌을 표현한 그림

아르놀트 쇤베르크(12음기법을 만들어낸 현대음악의 창시자) 음악에 자극받음

 

바우하우스 Bauhaus

창조의 시대 : 재현에서 편집으로

새로운 통합 : 예술 + 기술(과학+기술)

[감각의 교차편집] 색깔을 듣고 소리를 본다

감각을 전혀 다른 차원으로 편집하는 방법을 훈련한다

 

Bauhaus에서 챗GPT로 이어지는 지식혁명의 본질은

컴퓨터와 인간 사이의 ‘interface 혁명‘ (감각의 교차편집)이다

 

 

 

**********************************************************

조수진 작품보려면 아래 링크로 들어가세요

**********************************************************

[조수진 융합예술]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gNbiRQdE86I

 

[조수진 색칠]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LmERWIJSJFRH-31_l6eWxQ

 

[만화·웹툰 작업이야기] 창작과 시도

https://blog.naver.com/josujinkorea/222338294607

 

[애니메이션 작업이야기] 예술이 주는 위안

https://josujin.tistory.com/873

 

[융합예술·융합콘텐츠] 사례와 예시

https://blog.naver.com/josujinkorea/221719286140

 

[창의미술 / 융합예술 / 창의융합교육 / 통섭연구]

https://blog.naver.com/josujinkorea/222173300942

 

조수진 작품경력

https://josujin.tistory.com/17